흥국생명·11번가 ‘콜옵션 사태’ 후폭풍 여전…“대기업도 못 믿겠다”
입력 2024.05.02 07:00
    취재노트
    대기업들 콜옵션 행사 놓고 투자자와 갈등 이어져
    금융기관들 이전보다 까다로운 계약서 요구
    급전 필요한 대기업 중심으로
    금융기관과 조건 줄다리기 이어질 듯
    • 시장을 시끄럽게 했던 흥국생명과 11번가의 ‘콜옵션 사태’ 여파가 금융시장에 계속 이어지고 있다. 금융기관들은 한번 잃은 신뢰를 회복하는데에는 상당한 시간이 걸릴 것이라고 경고한다. 

      고금리 상황이 이어지고, 기업들의 부채부담이 늘어났다. 이 때문에 대기업도 금융기관에 ‘급전(?)’을 빌려야 하는 상황이 벌어지면서 금융기관들의 불신은 이전보다 빡빡한 거래조건 요구로 이어질 것이란 관측이다. 

      29일 금융권에 따르면 SK온을 비롯해 신세계건설 등 대기업들이 신종자본증권을 통해서 자금조달에 나서려고 한다. 두 회사모두 높은 부채비율로 인해서 자본성 자금조달에 나서는 것으로 풀이된다. 한 금융권 관계자는 “신세계건설, SK온 등 부채비율이 높은 기업들을 중심으로 자본성 자금 조달 움직임이 이어지고 있다”라며 “이미 은행 대출 등이 차있는 상황에서 남은 선택지가 많지 않다“라고 말했다. 

      SK온의 신종자본증권 발행 규모는 4000억원 이상 될 것으로 예상된다. 금리는 6% 중반대로 논의 중이다. 현재 증권사들과 세부적인 조건에 대한 협의를 이어가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신세계건설은 6500억원 규모의 신종자본증권 발행을 계획하고 있다. 대구 미분양 아파트 적체에 우발채무 부담이 현실화하자 선제적으로 자금조달에 나서는 것으로 파악된다. 

      이 두회사 모두 SK그룹과 신세계 그룹이라는 국내 굴지의 대기업이 모기업이다. 이 때문에 금융기관들도 이들도 당장 이 회사들이 곤란한 지경에 빠질 것으로 생각하지 않는다. 더불어서 금융기관들 입장에선 ”힘들때 도와줘야 한다“라는 생각도 여전하다. 

      다른 금융권 관계자는 “당장 급전이 필요하긴 하지만 대기업 산하에 있다는 점에서 자금조달이 안될 것 같지는 않다”라며 “일부 금융사들도 이런 대기업에 대해서 리스크를 감내하고 수익을 얻는 방식을 올해 주요 영업방식으로 내세우고 있기도 하다”라고 말했다. 

      하지만 이들 대기업이 금융기관에 자금을 조달하는 과정에선 상당한 진통이 예상될 것으로 보인다. 그 원인으로 흥국생명과 11번가의 콜옵션 사태의 영향이 꼽힌다. 

      흥국생명은 지난 2022년 5억달러 규모 신종자본증권에 대해서 콜옵션(조기상환)을 실시하지 않겠다고 해서 시장에 난리가 났다. 금융당국까지 개입하면서 결국 흥국생명은 당초 투자자들에 약속한대로 콜옵션을 행사했다. 하지만 해당 사태로 인해 금융시장에선 금융기관 조차도 투자자들과의 신뢰를 저버릴 수 있다는 생각을 남기게 했다. 

      여기에 방점을 찍은 것은 작년 SK스퀘어가 자회사인 11번가 지분을 재무적투자자로부터 되사지 않기로 결정한 일이다. 2018년 당시 11번가 운영사였던 SK플래닛은 나일홀딩스컨소시엄(PEF 운용사 H&Q컨소시엄, 국민연금, 새마을금고)에 지분 18.18%를 넘기면서 5000억원을 투자 유치했다. 

      당시 투자자에게 작년 9월까지 기업공개를 통한 투자회수를 약속했지만, IPO에 이어 매각까지 불발되면서 콜옵션이 발동했다. 하지만 SK측이 콜옵션 행사를 포기하면서 FI들은 매각 등 다른 자금회수 방안을 찾아야 하는 상황에 놓인 바 있다. 해당 사태를 겪으면서 금융기관들 사이에선 “대기업도 믿기 힘들다”는 생각이 퍼졌다. 

      한 연기금 관계자는 “11번가 사태로 인해서 대기업 투자에 대해서도 신중하게 접근하자는 인식이 커졌다”라고 말했다.

      이런일을 겪다보니 신세계건설, SK온 등 대기업 계열사 신종자본증권 발행에 대해서도 금융기관들은 더욱 까다로운 조건을 요구할 것으로 보인다. 이전 같았으면 굳이 계약서에 명문화하지 않아도 모기업의 지원여부에 대해서 의심을 하지 않는 분위기 였다면, 현재는 어떠한 형태로든 모회사의 지원 가능성을 계약서에 담기 원하고 있다. 

      다만 자금지원을 바라는 대기업 입장에선 모기업의 지원 가능성 등을 계약서에 담을 경우 회계적으로 자본으로 인정받기 힘들 수 있기 때문에 난감한 상황이다. 이 때문에 계약서 문구를 놓고 금융기관과 대기업이 줄다리기를 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 벌어질 것으로 보인다. 

      일례로 SK온의 경우 지난달 글로벌 신용평가사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가 SK이노베이션의 신용등급을 투기등급인 'BB+'로 강등한 바 있다. 그 배경은 SK온이 발행한 전환우선주(CPS)가 자본으로 인정되지 않은 영향이다. SK온은 지난 2022년 한국투자프라이빗에쿼티와 MBK파트너스 등 재무적투자자로부터 조단위 투자를 유치한 바 있다. 

      이에 대해 김진원 SK이노베이션 CFO는 "S&P가 작년 SK온의 전환우선주 형식 자본확충 노력을 자본으로 인정하지 않아 다른 신용평가사보다 보수적인 영향"이라며 "무디스나 국내 신용평가사는 이를 모두 자본으로 인정한다"고 말했다.

      다만 SK온이 투자유치를 한 당시보다 현재의 금융기관들의 요구수준은 더욱 높아져있단 평가다.

      한 증권사 관계자는 “아무리 대기업 계열이라고 하더라도 계약서에 만약의 사태를 대비할 수 있는 문구를 원하는 금융기관들이 많아졌다”라며 “자체 신용만으로 자금조달이 힘든 기업이 대기업 계열이라고 자금을 빌려주는 것은 금융기관으로서도 쉽지 않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