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월 3일 종료…국감 시기 겹쳐 긴장감 고조
검사 결과 따라 우리 이어 KB도 '사정권' 안
여당 중심으로 지난해 '앙금' 남은 점도 부담
-
금융감독원이 KB금융지주와 국민은행에 대한 정기검사에 돌입했다. 3년 주기로 진행하는 정기적인 성격의 검사이지만, 국정감사를 앞두고 있다는 점에서 KB금융의 긴장감은 어느 때보다 높다. 국회에서도 금감원의 검사 결과에 맞춰 국정감사를 준비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금융감독원은 지난 22일부터 KB금융지주 및 국민은행에 대한 정기검사에 착수했다. 홍콩 H지수 주가연계증권(ELS) 불완전판매 사태와 잇따른 횡령 및 배임, 부정 대출 등 금융 사고로 문제가 불거진 '내부통제' 운영 실태를 집중 점검한다는 방침이다. 검사 기간은 총 6주로, 특별한 변동사항이 없다면 오는 10월 3일 종료된다.
정기검사 성격이긴 하지만, 강도높은 검사가 진행될 것이란 관측이다. 실제로 이번 검사에는 30여명의 은행검사국 소속 검사역 외에 정보통신(IT) 검사국 인력 10여명도 투입된다. 통상적인 검사 인력보다 많은 인원이다. 검사 시기가 국감과 맞물려 있다는 점도 KB금융에는 부담이다. 3년 전인 2021년에는 6월부터 7월까지 검사가 진행됐다.
금융권에서는 이번 검사를 통해 금감원이 내놓을 결과에 주목하고 있다. 10월부터 진행되는 국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탓이다. 현재 국회 정무위원회에서 주목도가 가장 높은 금융지주는 우리금융이지만, 검사 결과에 따라 KB금융도 사정권 안으로 들어올 수 있다는 설명이다.
한 정무위 관계자는 "우리금융이 최근 전 회장의 부정대출 이슈 등으로 사회적 관심도가 높지만, 타 금융지주들도 내부통제 이슈에서 자유로운 상황은 아니다"라며 "KB금융은 금감원에서 어떤 자료를 내놓는지 팔로우하면서 국감 준비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실제로 국민은행은 올해에만 안양(104억원)과 대구(111억원), 용인(272억원) 등 지점에서 3건의 금융사고가 발생한만큼, 내부통제 문제에서 자유롭지 않은 상황이다. 올 초 문제가 됐던 홍콩 H지수 ELS 최다 판매사이기도 해, 고위험 상품 판매 관행을 조사하는 과정에서 새로운 쟁점이 부각될 가능성도 있다.
현재 여당 정무위 의원실을 중심으로 지난해의 '앙금'이 남아있다는 점도 KB금융에는 부담으로 지적된다. 작년 정무위 국감에서 윤종규 전 회장은 4대 금융지주 회장들 중 유일하게 증인으로 채택됐지만, 국제통화기금(IMF) 연차총회 참석과 해외 IR 활동을 이유로 불출석한 바 있다.
당시 여당 의원들을 중심으로 윤 전 회장에 대한 고발 조치를 요청하는 등 강한 발언들이 나왔다. 강민국 의원은 "국회에 정면 도전하고 국민을 우습게 보는 증인 윤종규를 고발할 수 있도록 의결해달라"고 말했고, 윤한홍 의원 역시 "윤종규 회장이 증인 채택 후 비행기 표를 바꿨다면 그냥 넘어가서는 될 사항이 아니다"라며 목소리를 높였다.
현재 강민국 의원은 여당 정무위 간사를 맡고 있고, 윤한홍 의원은 정무위원장을 맡고 있다. 상임위원장은 상임위를 대표해 의사를 진행하며, 회의 개회 및 의사일정을 결정하고, 소위원회 구성과 활동을 감독하는 자리다. 간사는 위원장 아래에서 상임위 운영에 대한 실무를 총괄하는 자리다. 사실상 여당 정무위의 핵심이 되는 의원실들과의 관계가 껄끄럽지 못한 셈이다.
지난해 KB금융경영연구소에서 정부 금융정책을 비판하는 보고서를 내놓았던 일을 둘러싼 잡음도 아직까지 국회 내에서 회자되고 있다. 당시 KB금융은 해당 보고서에 대해 '내부용 문건이 잘못 올라간 것'이라며 여당 의원실을 중심으로 해명에 나섰지만, 가장 중요한 간사(당시 윤한홍 의원)실 설득에 실패하면서 결국 윤 전 회장의 증인 채택을 막지 못했다.
한 국회 관계자는 "KB금융지주는 회장이 바뀌었지만, 이와 무관하게 아직 여당을 중심으로 지난해 풀지 못한 앙금이 남아 있다"며 "국감을 앞두고 벼르고 있는 곳들이 많은 만큼 작은 이슈에도 민감한 상황일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