킥스·RWA 규제로 보험·은행 출자도 주춤
현대캐피탈·현대커머셜 의존해도 한계 뚜렷
정부 주도 정책펀드에 쏠리는 NPL 투자
-
- 이미지 크게보기
- (그래픽=윤수민 기자)
부실채권(NPL) 운용사들이 기관투자자(LP)를 찾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우정사업본부를 제외하면 NPL에 출자하는 연기금·공제회가 사실상 없는 데다. 최근 보험사와 은행들도 지급여력제도(K-ICS·킥스) 비율과 위험가중자산(RWA)관리를 강화하며 출자 고삐를 조이고 있어서다.
민간에서 소화되지 않는 NPL 자산들은 정부 주도의 정책 펀드 위주로 거래가 되고 있다는 분석이다.
27일 부동산업계에 따르면 최근 NPL 전문 운용사들은 펀드레이징에 난항을 겪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LP 모집 난도가 올라가면서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로 인해 민간에서도 NPL 거래가 활발해질 것이란 전망이 나왔던 것과는 다소 다른 분위기가 연출되는 상황이다.
전통적인 앵커 LP인 연기금·공제회 중 NPL에 출자하는 곳은 부실자산 관리를 목적으로 세워진 금융공기업인 캠코와 우정사업본부 정도가 꼽힌다. 꾸준히 NPL 전문 운용사들에 출자를 해왔던 행정공제회는 7년 넘게 NPL 출자를 멈춘 상황이다.
행정공제회의 NPL 투자 중단 배경으로는 타 출자사업에 비해 낮은 수익률이 꼽힌다. 안정성을 중시한 행정공제회는 은행권 NPL 투자를 선호했는데, 은행권 NPL의 경우 'F&I'로 분류되는 전업 투자사들과의 조달금리 싸움에서 우위를 점하기 어려웠다는 설명이다.
매칭자금을 대는 금융사들도 NPL 출자를 꺼리는 상황이다. 운용사들은 블라인드펀드 자금을 모을 때 앵커 투자자에 대규모 출자금을 받은 뒤 은행이나 증권사 캐피탈사 등 금융사에서 매칭 자금을 모은다.
지난해부터 금융사들은 바젤3 도입으로 보통주자본비율(CET1)이 중요해져 위험가중자산(RWA) 관리 강화 추세가 이어지고 있다. 특히 NPL 펀드의 큰손이었던 보험사들도 새로운 킥스 규제로 출자에 나서지 않고 있는 상황이다.
주요 LP 풀(pool)이 좁아지면서 NPL 펀드 출자를 기대할 수 있는 곳은 현대커머셜과 현대캐피탈 정도에 불과하다는 분석이다. 금융지주사에 해당되지 않아 출자에 비교적 자유로운 데다 NPL 투자 전담부서가 존재하고, 역대 NPL 투자 수익률도 나쁘지 않다는 설명이다.
다만 현대커머셜과 현대캐피탈의 투자 여력에도 한계가 있어 이들에만 투자를 의지하는 덴 한계가 뚜렷하다는 평가도 나온다.
NPL 업계에서는 민간에서 투자가 소화되지 않는 NPL 자산들이 정부 주도의 정책성 펀드를 통해 매매가 이뤄지고 있다고 평가한다. 정부는 PF 부실 우려가 극대화한 지난해부터 1조원 대 규모의 PF정상화 지원펀드 등을 통해 NPL 매매를 적극 지원해왔다.
한 부동산 운용사 관계자는 "NPL은 특수성 때문에 출자자 구하기가 예전에도 쉽지 않았지만, 요즘엔 은행과 보험 등 금융사들도 출자에 손을 떼면서 매칭 난도가 더 올라갔다"며 "NPL 매물들은 매도자와 출자자가 일부 동일한 정책성 펀드를 통해 소화되고 있는 중"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