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전자, 연간 사상 최대 매출…4분기 영업익은 전년비 53.3% 하락
입력 2025.01.08 11:24
    물류비 급등, 재고 건전화 차원 일회성 비용 요인
    LG전자 "연간 기준으론 안정적 수익성 유지"
    • (그래픽=윤수민 기자) 이미지 크게보기
      (그래픽=윤수민 기자)

      LG전자가 작년 사상 최대 매출액을 기록했다. 그러나 4분기 영업이익은 시장 기대치를 밑돌았다.

      LG전자는 작년 매출이 87조7442억원으로 전년 대비 6.66% 증가했다고 8일 공시했다. 그러나 같은 기간 영업이익은 3조4304억원으로 6.1% 하락했다.

      특히 4분기 영업이익은 시장 기대치를 밑돌았다. LG전자의 4분기 연결 영업이익은 1461억원으로 전분기 대비 80.6%, 전년 대비 53.3% 하락했다.

      LG전자는 "영업이익의 경우 어려운 상황이 이어졌지만 연간 기준으로는 안정적 수익성을 유지했다"며 "지난해 하반기 들어 예상치 못한 글로벌 해상운임 급등이나 사업 환경의 불확실성을 고려한 재고 건전화 차원의 일회성 비용 등이 발생하며 수익성에 다소 영향을 줬지만, 연간 전사 경영실적으로 보면 사업 포트폴리오 재편에 따른 질적 성장이 이어지고 있어 긍정적이다"고 평가했다.

      주력 사업인 생활가전은 2년 연속으로 매출액 30조 원을 넘어섰을 것으로 기대된다는 설명이다. AI 가전 및 볼륨존 라인업을 확대하고 고객 수요 변화에 맞춰 구독, D2C 등으로 사업 방식을 다변화하는 것이 실적에 기여하고 있다. B2B에 해당하는 HVAC(냉난방공조), 빌트인, 부품솔루션 등의 성장도 꾸준하다. 생활가전 B2B 가운데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HVAC 사업은 독립 사업본부로 운영해 글로벌 톱티어 종합 공조업체로 도약하겠다는 계획이다.

      TV 사업은 전반적인 수요회복 지연이 이어지고 있지만 유럽 등 프리미엄 시장 수요는 점진 회복세를 보이는 추세다. webOS 광고/콘텐츠 사업은 TV와 스마트 모니터,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등으로 생태계를 확장하고 있다. 올해부터 IT, ID 등 스크린 제품 기반 사업을 MS(미디어 엔터테인먼트 솔루션)사업본부에서 통합 운영하며 하드웨어 및 플랫폼 사업에 본격 시너지를 더해 나갈 계획이다.

      전장 사업은 전기차 캐즘(일시적 수요 둔화)이 이어지며 다소 영향을 받고 있지만 2년 연속으로 연 매출액 10조 원을 넘겼을 것으로 예상된다는 설명이다. 특히 주력 제품인 차량용 인포테인먼트(텔레메틱스, AVN, 디스플레이 등)에서는 시장 지위를 공고히 하며 성장을 이어가고 있다. 올해는 미래준비 차원에서 SDV(Software Defined Vehicle, 소프트웨어 중심 차량) 전환에 주력하는 한편 수익성 중심의 운영을 통해 내실 다지기에 집중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