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도 의약품 필요하므로 현재 관세율 우려 과도 시각도
관세 부과해도 고객사가 부담…삼성바이오 등에 제한적 영향 전망
생물보안법, 시행 여부 불투명…현재로서는 관심 적은 분위기
-
의약품이 상호관세 적용 제외 품목으로 분류되면서 제약·바이오 업계는 일단 안도의 한숨을 내쉬는 모습이다. 다만 향후 품목별 관세 부과 가능성이 남아있어 긴장을 늦추기는 어렵다는 분위기다. 추후 관세가 부과되더라도 삼성바이오로직스 등은 실적에 제한적일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는 가운데 국내 업체들은 지속적으로 동향을 주시하며 모니터링하겠다는 입장이다.
지난 2일(현지시각) 미국 트럼프 대통령이 한국에 상호관세 25%(기본관세 10%+상호관세 15%)를 부과하겠다고 밝힌 가운데 의약품과 반도체 등은 상호관세 적용 대상에서 제외됐다. 의약품이 관세 무풍지대로 떠오르며 제약·바이오 업종은 3일 주식시장에서 일제히 강세를 보이기도 했다. 다만 관세 전쟁 현실화로 국내 증시가 '패닉셀' 직격탄을 맞으면서 7일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전일 대비 5.61% 하락한 100만9000원, 셀트리온은 6.04% 하락한 16만3400원에 장을 마감했다.
업계에서는 트럼프 대통령이 FTA를 체결했음에도 상호관세를 부과하는 등 예측이 어려운 인물인 만큼, 향후 방향성을 예의주시하겠다는 분위기다. 한 업계 관계자는 "당장 상호관세 부과를 피해간 것은 다행이지만, 아직 관세 리스크가 완전히 해소되지 않아 앞으로 어떻게 전개될지 향방에 집중하고 있다"고 말했다.
의약품 관세는 현재 트럼프 대통령의 의지에 따라 향후 품목별 관세로 따로 부과될 가능성이 남아있는 상황이다. 다만, 관세율은 미국 정부와의 협상 결과에 따라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우려가 너무 과도하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한 증권사 연구원은 "의약품은 미국에 반드시 필요한 재화"라면서 "관세로 인해 미국 내 의약품 가격이 상승하거나 공급이 불안정해지는 등의 문제가 생길 수 있고, 이는 트럼프 대통령의 약가 인하 정책과 반대되는 것이기 때문에 의약품 관세율이 걱정보다 높지 않을 수도 있다"고 내다봤다.
관세가 부과되더라도 그 영향은 제한적일 것이라는 전망이 다수다. CMO(위탁생산) 산업은 고객사가 관세를 부담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국내 업체들의 실적에 미치는 영향이 크지 않다는 것이다. 또, 삼성바이오로직스의 경우 대부분의 매출이 유럽에서 발생하는 등 미국 비중은 약 25%에 불과해 수익성에 큰 타격이 없을 것이라는 전망이다.
다만 고객사가 관세를 부담하는 만큼 신규 수주에는 차질이 생길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이와 관련해 한 증권사 제약·바이오 연구원은 "아직 의약품 관세에 대한 세부 내용이 없어 국내 업체들이 신규 수주 관련해 고객사와 깊게 논의를 하는 단계는 아닌 것으로 안다"면서 "조금 더 지켜봐야 할 문제"라고 전했다.
일단 국내 업체들은 당장 큰 영향은 없을 것으로 예상하면서도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대응 전략을 모색하겠다는 입장이다. 셀트리온은 올해 초 관세가 부과되더라도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약 9개월분의 재고 이전을 마치고, 현지 CMO 업체를 통해 완제의약품(DP)를 생산하는 등 조치를 취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해말 시행될 것으로 예상됐던 생물보안법 리스크는 줄어든 것으로 보인다. 최근 생물보안법을 반대하던 인사들이 고위직으로 임명된 데다, 바이든 정권에서 추진하던 정책이기 때문에 시행 여부가 불투명해졌다는 평이다. 생물보안법은 우려기업으로부터 미국인의 개인건강과 유전정보를 보호하겠다는 취지의 법안으로, 중국 기업들에 대한 견제로 해석된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중국 견제가 계속되는 만큼, 관세 문제가 해결되면 생물보안법이 다시 떠오를 수도 있지만 현재로서는 관심이 적다"면서 "작년에 비해 실현가능성이 매우 낮아진 건 사실"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