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감원, 저축은행에 PF 대출 자제 요청…업계 "사실상 중단"
입력 2025.04.11 14:45|수정 2025.04.11 14:47
    일부 저축은행, 6월까지 대출 잠정 보류
    PF 부실 장기화에 업권 건전성 악화 추세
    • (그래픽=윤수민 기자) 이미지 크게보기
      (그래픽=윤수민 기자)

      저축은행의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을 향한 정부의 압박이 거세지고 있다.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지난 10일 금융감독원이 한국투자저축은행 등 몇몇 저축은행 CEO를 불러 PF 관련 대출을 전면 중단하라고 통보한 것으로 전해진다.

      금감원은 "건전성을 강화하라는 차원에서 얘기한 것이지 대출 중단 요청은 아니다"라며 "최근 연체율이 오르는 일부 저축은행에 무분별한 신규 대출은 바람직하지 않다는 취지로 입장을 전달했다"고 밝혔다.

      하지만 일부 저축은행은 대출 심사가 끝난 건마저 멈추고 상반기까지 대출 작업을 멈추기로 한 것으로 알려졌다. 업계에선 사실상 중단 요청으로 받아들이고 있다는 얘기다.

      저축은행 한 관계자는 "금감원이 대출을 중단하라고 하지는 않았지만 PF 고정이하비율 등을 이유로 얼마든지 제재할 수 있는 상황"이라며 "일부 업계에서는 사실상 대출 중단과도 같은 무거운 상황으로 받아들이고 있다"고 말했다.

      금감원은 이미 작년 말부터 저축은행에 적기시정조치를 부과하며 경영개선에 나설 것을 강조하고 있다. 지난 3월에는 상상인저축은행에 적기시정조치 경영개선권고를 내렸으며, 페퍼저축은행은 건전성 개선 노력을 참작해 조치를 유예했다.

      이외에도 금감원은 작년 12월 저축은행 등 CEO를 소집해 충분한 가용 유동성 확보와 비상대응체계 재점검, 부실자산의 신속한 정리 등을 당부했다. 자산건전성 확보를 위해 경·공매 및 매각 등을 통한 부실 자산 정리에 적극 나서달라고 당부했다. 

      비우호적인 부동산 시장 상황이 이어지며 저축은행의 PF 부실위험이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아울러 가계신용대출과 자영업자 여신 부문에서의 건전성 위험도 높을 것으로 보인다. 또 순이자마진(NIM) 상승에도 불구 대손부담은 여전히 높은 수준이 이어질 거란 평가다.

      올해는 저축은행들도 정리를 미뤄 왔던 지방 및 비주거 PF 사업장을 매각해야 할 것이란 예상이 나온다. 기준금리 인하에도 부동산 경기가 쉽게 회복되지 않고 있으며,작년 6월말 기준 '양호 및 보통' 등급을 받은 사업장이 올해는 '유의 또는 부실 우려'로 재평가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동안 저축은행은 사업성이 좋은 수도권 사업장만 일부 정리하고, 문제가 되는 사업장은 손대지 않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이외에도 농협중앙회, 신협중앙회 등은 신규대출을 막거나 공동대출 취급기준을 강화하는 등 부동산 경기 침체에 대비하고 있다.

      금융투자업계 한 관계자는 "이미 PF 시장의 자금이 막힌 상황에서 신규 대출을 막으면 자금 공급은 더욱 어려워질 것"이라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