野 "한화 경영권 승계, 상법 개정으로 막아내겠다"
입력 2025.04.14 16:56|수정 2025.04.14 18:11
    한화그룹 유증·지배구조 개편 도마 위로
    野 "한화 제동 걸어 주주 손해 방지해야”
    한화 '묵묵부답' 속 의원들 상법 개정 의지 재확인
    • (그래픽=윤수민 기자) 이미지 크게보기
      (그래픽=윤수민 기자)

      한화그룹의 3세 경영권 승계 문제가 조기 대선을 앞두고 정치권의 핵심 이슈로 떠오르고 있다.

      14일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한화 경영권 3세 승계, 이대로 괜찮은가?' 토론회에는 야당인 더불어민주당 소속 주요 상임위 의원들이 대거 참석해, 한화에어로스페이스의 유상증자와 한화에너지 등을 포함한 지배구조 개편에 대해 강도 높은 비판을 쏟아냈다.

      이날 토론회는 국회 본회의 일정과 겹쳤음에도 다수 의원들이 참석하면서 한화그룹에 대한 정치권의 관심도를 실감케 했다. 정무위원회, 기획재정위원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등 핵심 상임위 의원들이 자리를 가득 메운 가운데, 한화오션 하청지회 노조 관계자들까지 참석하며 한화그룹을 둘러싼 정치적 압박의 강도를 보여줬다.

      토론회를 주최한 정무위 소속 김남근 의원은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유증 사건은 주주보호 정책을 도입하는 법 개정안의 필요성을 보여주는 전형적인 사건"이라고 말했다. 이어 "재계 서열이 5~6위권까지 치고 올라가는 한화그룹에 사회적 책임이 중요한데, 최근 한화에어로뿐 아니라 한화오션 등 다른 계열사들도 지역사회와의 소통을 소홀히 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고 지적했다. 

      특히 야당은 오는 17일 상법 개정안 재의결을 앞두고 한화그룹에 대한 견제 의지를 분명히 했다. 앞서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이 상법 개정안에 거부권을 행사한 상황에서, 여야 간 갈등이 고조되는 분위기다.

      기재위 소속 오기형 의원은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유상증자에는 편법 승계 의혹이 있다"며 "삼성물산, 고려아연, 한화에어로 사례처럼 주주에게 손해를 끼치는 문제에 대해 상법 개정을 통해 이사의 주주 충실의무를 명확히 하겠다"고 말했다.

      정무위 김현정 의원은 "자본시장 활성화안의 첫 번째는 이번(한화)처럼 나쁜 지배구조 개선이기 때문에 상법개정안을 반드시 통과시켜야 한다"고 강조했다. 같은 상임위의 이강일 의원도 "정무위나 당에서나 한화의 문제 깊이 보고 있다"며 "지금처럼 가게 해선 안 될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고 덧붙였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 한화오션, 한화시스템 등 계열사들의 주요 사업장이 위치한 산자위 소속 허성무 의원도 참석해 한화그룹이 지역 정치권과의 관계 관리를 소홀히 할 수 없는 상황임을 부각했다. 

      허 의원은 "경남도민들이 한화의 경영상태와 노사관계에 매우 큰 관심을 갖고 있다"고 발언하면서 한화그룹이 단순한 기업 차원을 넘어 지역 경제와 고용에 미치는 영향력을 고려해야 함을 시사했다. 

      이날 토론회에서는 유증과 별개 사인 아워홈 인수도 도마에 올랐다. 김남근 의원은 "최근 한화그룹이 급식회사 '아워홈'을 인수하려는 등 무분별한 사업 확장도 추진하고 있는 것도 문제"라고 우려했다.

      앞서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유상증자 규모를 3조6000억원에서 2조3000억원으로 줄이고, 한화에너지가 할인 없이 제3자 배정 방식으로 참여하겠다고 밝혔지만, 정치권의 비판은 수그러들지 않고 있다. 이에 한국거래소는 지난 9일 한화에어로를 불성실공시법인으로 지정 예고했다. 이의 신청 기한은 오는 18일까지다.

      이날 김남근 의원은 토론회 말미에 "제가 한화를 대변해서 입장을 잘 설명한 것 같긴 한데 부족했을 것 같으니 한화에서 오셨으면 입장을 좀 설명해 주시면 좋을 것 같다"고 요청했다. 한화그룹은 이날 토론회에 여러 명의 임직원이 참석했다고 밝혔지만, 김 의원의 요청을 듣고서도 그룹을 대변해 의원들에게 한화의 입장을 밝힌 이는 아무도 없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