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당선 가능성 50%↑ 설문 결과도
해외나 글로벌 PEF도 이재명 쪽에 무게
대선 후 대외 관계·경제 정책에 더 관심
-
이미지 크게보기
- (그래픽=윤수민 기자)
제21대 대통령 선거가 한 달여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각 정당들이 후보 경선으로 분주하다. 국민의힘은 윤석열 전 대통령 탄핵이라는 부담을 안고 대선에 나서야 하는데 아직 확실히 주도권을 잡은 후보는 없다. 대선 전략을 짤 여유가 부족한 모습이다.
민주당에선 지난 대선 후보이자, 당 대표로서 실권을 계속 쥐고 있던 이재명 후보가 독보적이다. 이미 당 안팎에서 어대명(어차피 대통령은 이재명)이라는 의견이 나오고 있다. 이재명 후보의 대선 승리 가능성이 50% 이상이라는 여론조사 결과가 나오기도 했다.
해외의 판단도 크게 다르지 않아 보인다. 암호화폐 기반 베팅 플랫폼 '폴리마켓'에선 탄핵 선고 후 이재명 후보의 당선 전망이 80% 수준으로 높게 유지되고 있다. 해당 플랫폼의 투자자들은 작년 미국 대통령 선거 결과를 정확히 예측하기도 했다.
글로벌 사모펀드(PEF) 등 해외 투자자들도 이재명 후보의 당선 가능성을 높이 보고 있다. 누가 대통령이 되느냐보다는 유력 후보의 당선 이후 판도가 어떻게 바뀔지에 집중하는 분위기다. 계엄사태 후 불거진 한국 내 정치적 불확실성은 사실상 걷혔다 보기도 한다.
한 글로벌 PEF 관계자는 "이미 본사 내부에서는 President Lee(이재명 대통령)라는 표현을 쓰기도 한다"며 "한국 투자를 고려함에 있어 정치적 불안정성은 크게 걸림돌이 되지 않는 분위기"라고 말했다.
물론 과거 대통령 선거들의 사례를 들어 아직 결과를 예단하기 이르단 의견도 있다. 그럼에도 현 시점까지는 확실한 우위를 점한 후보가 있다 보니 대선 이후 전망도 그에 맞춰서 하는 분위기다. 이재명 후보의 성향과 정책 기조가 어떤 영향을 미칠 것이냐에 집중하고 있다.
다른 글로벌 PEF 관계자는 "아직 대선 결과를 확신하긴 이르지만 본사에는 어떤 후보의 당선 가능성이 크며, 어떤 정책을 내고 있다는 점 정도를 보고하고 있다"고 말했다.
가장 큰 관심사는 차기 대통령의 대외 정책이다. 현재 글로벌 정세는 미중 분쟁이 장기화하는 가운데 미국발 관세 전쟁까지 벌어지며 극도의 불안정성을 보이고 있다. 한국 경제가 국제 정세 변화에 취약한 만큼 차기 정부의 대외 정책관이 중요하다.
이재명 후보는 상대적으로 중국에 친화적인 것 아니냐는 평가를 받아 왔다. 작년엔 양안(중국과 대만) 문제에 대해 관여하지 말라며 윤석열 정부의 대중 외교 전략을 비판하기도 했다. 중국에 네트워크가 있는 자문사 사이에서는 '이재명 후보가 중국에서 인기가 많은 분위기'라는 언급이 나오기도 한다.
글로벌 PEF 입장에선 차기 정부가 중국과 어떤 관계를 유지하느냐가 중요하다. 이들은 대부분 아시아 전역을 아우르는 펀드를 운용하고 있는데 미중 분쟁 탓에 중국 투자는 쉽지 않았다. 한국과 중국의 거리가 너무 가까워지면 한국 투자도 부담이 될 것이란 지적이다.
미국과 중국이 관세 자존심 싸움을 벌이고 있다. 한국 산업이나 기업이 중국과 연관성이나 의존도가 높아지면 그만큼 관세 부담이 커질 수 있다. 글로벌 PEF의 한국 포트폴리오도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다. 최근 한국은 미국과 관세 협상을 서두르고 있는데, 대선 전에 협의점을 찾으려면 미국이 더 급한 것 아니냐는 평가도 나온다.
이재명 후보는 이사의 충실의무 대상을 '회사'에서 '회사 및 주주'로 확대하는 상법 개정을 다시 추진하겠다는 의지를 밝히고 있다. 자사주 소각 의무화, 쪼개기 상장 시 일반주주 신주 우선 배정 등 자본시장 개편안도 준비 중이다. 정부 주도로 우량 기업을 육성하고 거기서 나오는 배당금을 국민이 나누자는 'K엔비디아' 구상을 내놔 주목받기도 했다.
이재명 후보의 공약은 공감을 얻기도 하지만 어려운 시기 기업을 너무 옥죄는 것 아니냐는 지적도 있다. 국토보유세, 기본 소득 등 언급을 줄이고 성장을 외치면서 '우클릭' 행보를 보이고 있다. 일부 해외 투자자는 이전과 달라진 색채 때문에 대선 이후 경제 정책의 불확실성이 커졌다고 지적하는 분위기다.
금융감독당국의 역할이 어떻게 변하느냐도 중요 변수다. 홈플러스 기업회생절차 신청 등 대형 사고가 이어지면서 정치권, 특히 민주당의 PEF에 대한 시선이 곱지 않다. 글로벌 PEF 입장에선 과세 문제가 다시 도마에 오르는 것도 달갑지 않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