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B금융, 1분기 순익 6% 감소…건전성 악화·지방은행 영업 한계 '삼중 부담'
입력 2025.04.24 17:33
    연체율·NPL 급등…충당금 부담에 순이익 6% 하락
    지방경제 침체 속 지역은행 중심 포트폴리오 한계 노출 평가
    디지털금융 확산·오버행 리스크까지 겹치며 주가 반등 제약
    • (그래픽=윤수민 기자) 이미지 크게보기
      (그래픽=윤수민 기자)

      JB금융지주는 올해 1분기 순이익 1628억 원을 기록했다. 전년 동기 대비 6.0% 감소한 수치다. 영업이익은 증가했지만, 연체율 상승과 대손충당금 확대 등 자산건전성 부담이 실적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 나온다.

      24일 JB금융이 발표한 실적 자료에 따르면, 1분기엔 특히 자산건전성 지표가 전반적으로 악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NPL(고정이하여신) 비율은 전 분기 0.91%에서 1.19%로 상승했고, 연체율은 1.52%로 전 분기 대비 39bp 확대됐다. NPL 비율은 총여신 대비 고정이하여신이 차지하는 비율로, 금융회사의 건전성을 나타내는 핵심 지표다. 비율이 낮을수록 부실자산 비중이 적고 여신 건전성이 우수하다고 판단된다.

      고정이하여신 규모는 6185억 원으로 전분기 대비 31.8% 급증했으며, 추정손실과 연체채권도 각각 30% 이상 증가했다. 이에 따라 NPL 커버리지비율은 139.7%에서 112.5%로 하락해 손실 흡수 여력도 낮아졌다.

      자산건전성 지표가 악화된 배경에는 지방경제의 전반적인 침체와 함께, 지방금융사를 둘러싼 경쟁 환경 변화가 있다. 지방은행들은 전통적으로 지역 중소기업 중심의 대출 포트폴리오를 구성하고 있는데, 지역 경기 위축과 부동산 시장 부진으로 지역 기업들의 재무여건이 악화되면서 신용리스크가 확대된 상황이다.

      여기에 인터넷전문은행과 시중은행의 디지털 기반 전국 영업 확대 역시 지방은행의 수익성 악화를 가속화하고 있다. 카카오뱅크·케이뱅크·토스뱅크 등 인터넷은행의 자산 규모는 이미 일부 지방은행을 추월했으며, 시중은행도 강한 자본력을 바탕으로 지방 시금고 입찰과 개인 고객 유치에 적극 나서고 있다. 이 같은 경쟁 환경 속에서 지방은행은 자본력, 사업영역, 지역경제 의존도 측면에서 구조적인 제약을 안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부문별로는 전북은행(순익 515억 원, -8.6%)과 광주은행(670억 원, -8.7%)이 충당금 추가 적립과 명예퇴직금 반영 등의 일회성 요인으로 전년 대비 순익이 줄었다.

      반면 JB우리캐피탈은 585억 원(+3.5%)으로 실적을 방어했으며, JB자산운용(29억 원), JB인베스트먼트(10억 원), 해외 자회사 PPCBank(102억 원, +44.0%) 등도 안정적인 수익을 이어갔다.

      JB금융은 1분기 실적 발표와 함께 보통주 1주당 160원의 분기 배당을 확정했다. CET1(보통주자본비율)은 전분기 대비 7bp 상승한 12.28%로, 안정적인 자본비율을 유지하고 있다. 회사 측은 자사주 매입 및 소각을 포함한 주주환원 정책을 지속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다만 적극적인 주주환원 정책을 이어가고 있는 가운데, 자사주 소각에 따른 최대주주의 지분율 상승으로 오버행 이슈도 잠재돼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삼양사의 지분율은 지난달 말 기준 14.81%로, 금융지주 동일인 보유한도(15%)에 근접한 상태다. 향후 자사주 소각이 추가로 이뤄질 경우 일부 지분 매각이 불가피해질 수 있다는 관측이 제기된다.

      시장에서는 자본여력과 이익 체력은 일정 수준 유지되고 있지만, 지방은행의 구조적 한계와 자산건전성 부담, 최대주주의 오버행 가능성이 주가의 상방을 제한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24일 종가 기준 JB금융지주 주가는 1만7830원으로, 지난해 12월 초 기록한 고점(2만500원) 대비 약 13% 하락한 상태다.

      한 증권사 연구원은 "JB금융의 1분기 실적은 전년 동기 대비 순익이 감소했지만, 지방경기 침체란 악재를 고려하면 일정 수준의 수익성 방어가 이뤄졌다고 볼 수 있다"면서도 "NPL 비율과 연체율이 상승하고 있고, 고정이하여신 규모도 늘어난 점은 자산건전성 측면에서 부담 요인"이라고 분석했다.

      이어 "지방은행 전반의 건전성 리스크가 확대되고 있는 상황에서, 향후 충당금 정책이나 연체율 흐름이 향후 실적과 주가에 중요한 변수가 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