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호동 농협중앙회장, 조기 대선 최대 수혜?…연임ㆍ인사권 강화 ‘숙원’ 풀리나
입력 2025.04.28 07:00
    조합장 직선제 첫 회장·영남 출신 강점
    여야 농협법 개정 러브콜 속 영향력 확대 주목
    인사권 확대도 이어질 듯
    • (그래픽=윤수민 기자) 이미지 크게보기
      (그래픽=윤수민 기자)

      조기 대선 국면에서 농협중앙회와 강호동 중앙회장이 정치권의 주목을 받고 있다. 전국 1100여개 조합을 연결하는 조직력을 가진 농협은 매 선거마다 ‘조직표’의 실질적 영향력으로 부각돼 왔다. 여야 정치권이 농협을 향해 러브콜을 보내고 있는 가운데, 강 회장은 회장 연임과 인사권 강화 등 ‘숙원 과제’ 실현의 기회를 잡을 수 있을지 주목된다.

      강호동 회장은 2024년 농협중앙회장 선거에서 전국 조합장 직접투표로 당선된 첫 회장이다. 2007년 이후 처음으로 부활한 ‘직선제’로 당선된 만큼, 농협 내부는 물론 외부 정치권에서도 상징성이 크다는 평가다. 특히 8년 만에 영남권(경남 합천) 출신 회장이라는 점에서 대선 정국 속 영향력에 대한 관심도가 크다.

      한 금융권 관계자는 “직선제로 선출됐다는 점에서 강 회장은 조합원 기반의 정당성을 확보했다”며 “이 점이 대선 정국에서 정치적 협상력을 높이는 요인이 될 수 있다”고 전했다.

      조기 대선이 확정되면서 농협중앙회장의 연임을 허용하는 법 개정 논의가 다시 수면 위로 떠오르고 있다. 농협중앙회장은 현행법상 1회 임기에 한정돼 있지만, 연임 허용을 골자로 한 농업협동조합법 개정안이 재발의될 가능성이 제기된다.

      실제 지난 3월 국회에선 농협법 개정을 주제로 한 공개 토론회가 열렸으며, 이 자리에는 농협 출신 인사들도 참여해 “회장 연임 시 현직 회장에게도 소급 적용이 필요하다”는 주장을 폈다. 해당 개정안은 과거 이성희 전 회장 재임 시에도 발의됐으나 국회 문턱을 넘지 못했다.

      이와 관련 농협중앙회 측은 "회장 연임과 관련해 농협중앙회 차원의 움직임은 없다”고 해명했다. 아직 임기가 3년이나 남은 점을 고려하면, 새 정부 출범 이후 시작해도 늦지 않을 거란 평가가 나온다. 

      농협중앙회 본사 이전을 두고 입법 거래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문금주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농협중앙회의 소재지를 서울로 고정하지 않고, 정관에 따라 조정 가능하도록 하자”는 법안을 대표발의한 바 있다. 조경태 국민의힘 의원 역시 유사한 법안을 냈다. 이를 두고 일각에서는 여야를 막론하고 농협과 우호적 관계를 구축하려는 ‘정치적 신호’라는 해석이 나온다.

      이에 대해 한국노총은 최근 성명을 통해 “농협중앙회 본사를 지방으로 이전하려는 시도나 회장 연임안은 정치적 이해관계가 개입된 것”이라며 “표심을 의식한 정치적 거래가 아닌, 농협의 발전과 운영 효율성을 중심에 둔 논의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특히 이번 입법 논의가 특정인을 위한 ‘맞춤형 법 개정’으로 비칠 수 있다는 점에서 논란의 여지는 남아 있다는 분석이다.

      강 회장이 본격적으로 농협 계열사에 대한 영향력 강화에 나섰다는 분석도 있다. 올해 첫 계열사 방문지로 NH투자증권을 선택한 것을 두고도 말들이 많다. NH투자증권은 지난해 대표이사 선임 과정에서 중앙회와 금융지주 간 이견으로 갈등을 겪었던 곳이기 때문이다. 

      당시 강 회장은 중앙회 측 인사를 추천했으나, 금융당국과 이석준 당시 농협금융 회장의 반대로 무산된 바 있다. 이를 계기로 중앙회와 금융지주 간 인사 권한을 둘러싼 줄다리기는 수면 위로 떠올랐다. 이런 곳을 올해 첫 현장 경영 방문지로 택한 것은 정치적 메시지가 있는 것 아니냐는 해석이 나온다.

      한 금융권 관계자는 “윤 정부 출범 초기에는 강 회장이 정치적으로 조심스러운 행보를 보였지만, 조기 대선 정국에선 명시적인 존재감을 드러낼 가능성이 있다”며 “이 영향력은 연말 금융 계열사 인사에서도 일정 부분 반영될 수 있다는 얘기가 벌써부터 회자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