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롯데에너지머티리얼즈 적자 보완 역부족"
-
롯데케미칼의 신용등급이 한 단계 하향 조정됐다. 계속되는 영업적자로 저하된 재무안정성이 회복하지 못하고 있다는 이유에서다. 이에 따라 그룹 내 통합신용도가 하락하면서 지주회사인 롯데지주의 신용등급도 한단계 내렸다.
30일 국내 신용평가 3사(한국기업평가·한국신용평가·NICE신용평가)는 롯데케미칼의 기업 신용등급을 'AA(부정적)'에서 'AA-(안정적)'으로 내렸다. 롯데지주의 경우 무보증사채 신용등급을 'AA-(부정적)'에서 'A+(안정적)'으로, 기업어음 신용등급을 'A1'에서 'A2+'로 하향 조정했다.
롯데케미칼은 지난 3년간 수요 부진, 증설 부담 등을 이유로 기초화학 부문의 수익성 저하로 전사 영업적자를 이어가고 있다. 지난해 중국의 증설 부담이 완화됐으나, 그간 누적된 공급 부담이 해소되지 못하는 모습이다.
유준위 한기평 연구원은 "지난해 3분기 이후엔 롯데에너지머티리얼즈도 고정비 부담 확대 등으로 적자를 기록해 실적 부담 요인으로 작용했다"며 "첨단소재부문과 롯데정밀화학이 이익을 창출했지만, 기초화학과 롯데에너지머티리얼즈부문의 적자를 보완하기에 역부족이었다"고 설명했다.
게다가 자본적지출(CAPEX), 지분투자 등에 소요되는 자금을 외부 차입에 의존한 결과 지난해 말 연결기준 순차입금 규모가 7조1941억원으로 급증했다. 올해 1분기 기준 운전자본투자 감소, 주가수익스와프(PRS)를 통한 자금 조달 등으로 순차입금 규모가 6조6244억원으로 소폭 감소했으나, 여전히 차입 부담이 과중하다는 지적이다.
유 연구원은 "과잉 공급 영향으로 올레핀계 중심의 사업구조를 보유한 롯데케미칼은 향후 2년 내 흑자 전환이 불확실하다"면서도 "사업경쟁력 강화를 위해 사업구조 재편을 진행 중으로 기초화학부문 비중이 축소되고, 가동률 반등에 따른 고정비 부담 완화로 롯데에너지머티리얼즈 실적이 턴어라운드될 것으로 예상돼 전사 적자규모는 축소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롯데케미칼은 재무 부담 완화를 위해 투자 조절, 자산 매각 등의 자구 계획을 추진 중이다. 연결기준 차입금을 축소하기 위한 자회사 지분 매각, 사업부 보정 등을 진행하고 있다.
그는 "자구 계획으로 차입금이 감축되며 재무 부담이 완화되긴 하겠지만, 본원적인 영업현금창출 회복이 제한적일 전망이어서 유의미한 커버리지 지표 회복을 기대하기 어려울 것으로 본다"고 짚었다.
주력 계열사인 롯데케미칼의 신용도 하락으로 롯데지주의 신용도도 동반 하락했다. 그룹의 통합신용도는 ▲롯데쇼핑 AA-(안정적) ▲롯데케미칼 AA-(안정적) ▲롯데웰푸드 AA(안정적) ▲롯데칠성음료 AA(안정적) 등의 자체신용도를 가중평균해 산출된다. 가중치가 높은 롯데케미칼의 자체신용도가 하락함에 따라 통합신용도가 연계해 하락했다.
롯데지주는 지난 2020년 이후 그룹 경영효율성과 사업경쟁력 강화를 위한 지분투자가 지속되면서 차입금이 증가하고 자체 재무부담이 확대됐다. 지난 2019년 말 1조2000억원에 불과하던 순차입금은 2024년 말에는 3조5000억원까지 급증했다.
문아영 NICE신평 연구원은 "지난해 신종자본증권 3500억원 발행을 통한 자본 보강에도 올해 3월 말 기준 이중레버리지비율이 179.8%를 나타내는 등 자체 재무부담 확대 추세가 지속되고 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