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 이유 없다" 글로벌 PEF 등 투자업계 손사레
'유족과의 논의' 가능성도 대두…현실성은 낮아
-
정부가 세 번째 시도마저 무산된 넥슨 지주사 NXC 지분 매각 공고를 다시 진행했다. 경영권이 빠진 ‘물납 주식’ 특성상 거래가 성사되기 어렵다는 시선이 많은 가운데, 과연 이번에는 최대 주주인 유족이 협상 테이블에 나설지 주목된다.
정부는 지난 27일 NXC 주식 매각 입찰을 재공고했다. 입찰 대상은 NXC 보통주식 총 85만1968주로, 회사 발행 전체 주식 기준 지분율 약 30.6%에 해당한다. 이번 입찰은 앞서 정부가 세 번째로 추진한 지분 매각이 참여자 부족으로 무산된 데 따른 것이다.
매각 절차가 장기전으로 접어드는 가운데, 시장에서는 여전히 해당 주식이 “이렇게는 평생 거래가 불가능한 주식”이라는 시각을 내놓고 있다. 국내 대표 게임사인 넥슨의 모회사 지분을 확보할 수 있다는 점 말고는, 경영권이 포함되지 않은 비상장 회사의 주식이기 때문에 ‘배당 수익’ 정도만 기대할 수 있다. 이런 상황에서 4~5조원을 투자할 원매자가 나타나기는 쉽지 않다는 평이다.
국내 상법상 특별결의 요건을 충족하려면 발행주식 총수의 3분의 1 이상의 찬성을 받아야 하기 때문에, 33% 이상 지분을 확보해야 안건을 단독으로 저지할 수 있다. 이에 통상 33% 지분 이상을 보유해야 실질적인 경영권 지분으로 인정받는다.
이러한 배경 때문에 여러 글로벌 사모펀드(PEF) 등이 매물을 검토하긴 했지만 대부분 손사래를 쳤다. 세 번째 매각이 유찰되면서 우려가 커지는 가운데, 재도전에서는 유족들이 나설지가 가장 큰 관심사로 떠올랐다.
현재 일부 거래에 연관된 IB들이 잠재 후보군에 ‘유족과의 만남’ 주선을 제시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이전 입찰 건에서는 유족들과의 접촉 가능성 자체가 완전히 차단돼 있었는데, 이번에는 유족들이 원매자들과 협의할 가능성도 내비치는 분위기다.
앞서 입찰에서는 매각주관사와 대상기업의 합의 하에 체결한 비밀유지계약(NDA)에 영구적인 비밀유지 의무와 최대주주인 유족과 접촉 금지 등의 제약이 포함됐던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대해 기재부는 정부와는 무관한 사항이라고 설명한 바 있다.
-
다만 시장에서는 유족 측의 협조 가능성을 낮게 보는 분위기다.
투자자들이 나설 만한 유인이 생기려면 유족으로부터 우선매수청구권(콜옵션)을 얻어 단일 최대주주로 올라설 수 있거나, 향후 일정 가격에 주식을 되사주는 우선매도청구권(풋옵션)을 얻는 조건이 필요하다. 그러나 유족 입장에서는 세금으로 납부한 주식의 판매를 위한 협조에 나설 유인이 없다.
한 투자업계 관계자는 “투자자 입장에서는 정부가 해당 주식을 인수하면 손해를 보지 않도록 유족 측과도 어떤 합의가 있다는 보장을 해줘야 나설 수 있다”며 “하지만 유족들 입장에서도 이미 납부한 세금(주식) 문제를 해결해 줄 이유가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다른 조건이 변하지 않는 가정 아래, 추후 유족들이 보유지분 매각에 나설 때 원매자가 정부 지분도 함께 인수하는 시나리오 정도는 가능하다. 하지만 거래 규모가 수십조원에 달하기 때문에 잠재 인수자 후보군이 더욱 좁아진다.
무엇보다 유족의 지분 매각 의사 자체도 불투명하다. 올해 6월 중국의 IT·게임 기업 텐센트(Tencent)가 넥슨 인수에 재도전한다는 외신 보도가 나온 바 있으나, 텐센트 측은 공식적으로 부인했다.
앞서 정부는 한국자산관리공사(캠코)에 위탁해 2023년 말까지 두 차례 NXC 주식 매각을 시도했지만 모두 유찰됐다. 매각 대상은 넥슨 창업자인 고(故) 김정주 회장의 유가족인 유정현 NXC 의장 일가가 2023년 상속세로 물납한 NXC 지분 전량이다. 평가액은 4조원대 중반에서 5조원대 사이가 거론된다. 올해 진행된 매각에선 기획재정부가 IBK투자증권을 매각주관사로 선정해 수의계약으로 절차를 진행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