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 페이지
# 정낙영 기자의 글
내용 같이보기
|
제목만보기
IPO 앞둔 SK에코플랜트, 반도체로 폐기물 공백 메울 수 있을까
SK에코플랜트가 결국 친환경 사업의 매각을 추진한다. 수개월 전부터 다수 사모펀드(PEF) 운용사에 인수 의향을 타진해온 것으로 확인되는데, 가격만 맞으면 인수자를 찾는 것은 크게..
2025.02.17
|
정낙영 기자
,
최수빈 기자
LG그룹, 연초 상장에 공모채까지 조달 숨통은 일단 트였는데…
올해 LG그룹의 숙제는 각각 두 건의 상장과 공모 회사채 발행으로 지목됐다. 해가 바뀐 지 두 달여 만에 벌써 세 건의 조달을 수월하게 마쳤다. 남은 건 LG전자의 인도 법인 상장..
2025.02.13
|
정낙영 기자
美 철강 25% 관세…적극 대응하자니 실익 불투명한 포스코·현대제철
트럼프 2기 행정부가 예고대로 수입산 철강에 25% 관세를 부과하기로 하며 국내 철강 산업도 본격적으로 수술대에 오르는 모습이다. 앞서 국내 기업의 현지 직접 진출을 따져보던 기류도..
2025.02.12
|
정낙영 기자
승계와 정쟁에 이용만 당한 '기업' 삼성전자
부당합병·회계부정 협의로 기소된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이 항소심에서도 무죄를 선고받았다. 검찰이 기소한 19개 혐의 전부가 무죄가 됐으니 긴 시간 이 회장을 짓누른 사법 리스크도..
2025.02.07
|
정낙영 기자
"4년 전이랑 상황 다른데?"…매그나칩 매각 재추진 소식에 시장은 고개 갸웃
매그나칩반도체가 4년 만에 다시 매물로 나왔다는 소식에 인수합병(M&A) 업계가 현실화 여부에 고개를 갸웃하고 있다. 과거 LG반도체에서 떨어져 나온 뒤 새 주인을 찾지 못한 마지막..
2025.02.07
|
정낙영 기자
트럼프, 美 IRA 예산 손 대기 시작…'공장 축소' 고민까지 하는 배터리 업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공화당이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을 들여다보기 시작했다. 국내 전기차·배터리 업계에선 IRA 보조금을 당장 줄이긴 어려울 것이라 관측하고 있으나 확신은..
2025.02.04
|
정낙영 기자
딥시크가 불 당긴 美中 AI 패권경쟁…SK하이닉스 빼곤 들러리 신세 韓 대기업들
중국 인공지능(AI) 스타트업 딥시크(DeepSeek)가 불러온 파급이 생각보다 거세다. 미국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에 맞춰 마치 작정하고 양국 AI 패권 경쟁의 신호탄을 쏘아 올린 듯하다는..
2025.02.03
|
정낙영 기자
,
이지윤 기자
삼성전자, 불황 속 HBM 대응 총력…中딥시크·美트럼프 영향엔 신중론
트럼프 2기 행정부의 통상 정책과 중국 인공지능(AI) 스타트업 딥시크가 글로벌 반도체 산업에 충격파를 던진 가운데 삼성전자는 고대역폭메모리(HBM)를 중심으로 AI 반도체 대응에 총력을..
2025.01.31
|
정낙영 기자
美 관세 피하자면 철강도 현지 투자 불가피…현대제철 다음은 포스코 순번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취임하며 철강 산업을 둘러싼 관세 장벽이 다락같이 높아지고 있다. 물건을 사주는 쪽이 수입할당제(쿼터)에 관세, 탄소세까지 줄줄이 협상 카드를 꺼내든..
2025.01.31
|
정낙영 기자
SK하이닉스-삼성전자 자꾸 벌어지는 D램 격차…쉽지 않은 HBM 추격전
SK하이닉스와 삼성전자의 D램 시장 지위가 계속 벌어지는 모습이다. 단 한 번 공정 경쟁력이 뒤집힌 결과로 삼성전자가 너무 많은 수업료를 지불하게 됐다는 관전평이 나온다. D램 3사는..
2025.01.31
|
정낙영 기자
이전
1
2
3
4
5
6
7
8
9
10
다음